top of page

비디오 혼성_액체적 재(液體的灰)

(박사학위 논문, 2007년 4월2일)

 

-국문초록

-목차

파리 1대학 팡테옹-소르본느

조형예술학 박사 학위 논문

2007

 

 

 

논문 제목: 비디오 혼성

부제목: 액체적 재(液體的灰)

(국문 초록/ 목차)

 

 

 

 

                                    논문 저자 :                박 은 영

논문심사 일시 :         2007년 4월 2일

논문심사 장소 :         파리 국제 기숙사 내 아비센 재단

Fondation Avicenne,

Cité Internationale Universitaire

심사위원

지도교수 Jacques Cohen                            파리 1대학 조형 예술학 명예 교수

심사위원장 Mme Gisèle GRAMMARE       파리 1대학 조형 예술학 교수

Mr Edmond COUCHOT                              파리 8대학 조형 예술학 명예 교수

Mme Françoise PARFAIT                            아미앙 대학 조형 예술학 교수

Mr Jean-Louis WEISSBERG                         파리 13대학 컴퓨터/인터넷 통신학과  교수

Mr Tschang-Yeul KIM                                  예술가

 

 

 

 

국문 초록

 

논문 제목: 비디오 혼성 (Vidéovariétés)

부제목: 액체적 재 (Cendres Liquides, 液體的灰)

 

         Vidéovariétés (비디오 혼성)

         Vidéo는 라틴어로 «나는 본다» (je vois)를 의미한다. 불어에서, Vidéo는 세가지     단어 vide/et/eau (비어있음/그리고/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프랑스 현대 비디오  역사가인 프랑수와즈 파르페 (Françoise Parfait)가 지적했듯이 두 단어 «Vidéo» 와 «vide-eau» (비어있음과 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음성학적 유사성과 그것의 의미론적     개별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되어질수 있겠다.    

         이렇듯 다차원적 의미해석이 가능한 Vidéo는 본 연구 창작에서 또 하나의 의미를   지닌 «다양성»을 의미하는 복수형 명사variétés와 결합하여 새로운 어원적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Variétés는 통속적 의미의 버라이어티 쇼 혹은 TV뮤지컬 쇼를 지칭하는 다소 부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본 연구 창작의 대상이 되는 세계 즉 다양한 현상들의 결합, 충돌, 만남으로부터 창출된 다양하고 혼성된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Cendres Liquides (액체적 재, 液體的灰)

         본 연구는, 중세 연금술사들이 어둠에서 빛으로, 납에서 금으로, 끊임없는 변화에의 욕망을 따라 추구하며 얻고자 했던 현자의 돌처럼, 존재하지 않는, 혹은 상상의 그 어떤   두 물질을 혼합하여 얻으려 했던 연금술적인 행위와 유사하다고 하겠다.   

         액체적 재 (液體的灰) 라고 명명된 상상의 두 물질은, 흘러내리는 물, 혹은 타오르는 불꽃과 같이 상승과 하강 운동의 끊임없는 순환, 생성, 소멸 그리고 되어가기(devenir, 化成) 의 잠정적 중간 상태에 존재하는데, 그것은 물질의 고체적 상태와 액체적 상태의 그   중간의 모순된 존재와 같다고 볼수있다.  

         본 저자는 이러한 상상의 액체적 재와 그것의 존재 공간을 조형적으로 탐구하고 만들어내는데, je vois (나는 본다) 라는 세계를 보는 틀 혹은 장치로서의 Vidéo로부터 출발하여 철학적 인식론적 영역인 vide et eau (비어있음과 물) 를 통해 Vidéovariétés (비디오 혼성)의 영역으로 탐구의 범위를 확장시켜 나간다.

         나의 비디오 속에서, 상상의 액체적 재는 때론 불처럼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며 때론 물처럼 순환적인 움직임속에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듯, 비디오 화면의 검고 작은 장방형 화소 (픽셀)들의 micro mouvement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형상화 내지는 시각화 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디오 서체적 작품에서 나타나는 두가지 반대 개념의 현상인 물과 불의 의미를 음(陰)과 양(陽), 기(氣)의 순환, 몇가지 도학적 개념, 동양 의학의 음양 오행론 중 장부(臟腑)이론, 그리고 서양근대의학 중 데카르트 (R.Descartes)의 몸 기계론, 하비(W.Harvey)의 혈액의 순환이론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접근으로 재해석을 시도한다.

 

         Devenir (되어가기, 化成)

         비어있음 과 물(vide et eau)로 이루어진 비디오 혼성 (Vidéovariétés) 변형화의  공간속에서 상상의 «액체적 재» 들은 끊임없이 어떠한 형상 (forme)으로 조형화 되지만, 결국 이질적 (異質的) 혹은 다른것이 «되어간다».  

         이처럼 다른것이 되어가는 놀이, 이질적인 것이 되어가는 놀이 혹은 다른것이 되어 가도록 마련된 놀이는 그것의 본연의 «되어가기» 기능을 위해 역설적인 움직임을 생성   하고 소멸시킨다. 반면에 이 모든 움직임은 가장 자연스런 내재적 욕구 (désir)와 힘에 의해, 밀물과 썰물의 작용과 반작용적인 반복운동속으로 끊임없이 되풀이된다.

         옛 극동지역의 산수화가들에게 기(氣)를 표현하는 방식이 있었던 것처럼 « 물속에서 물을 그리는 » 어쩌면 불가능한 방식으로, 자신이 바라보는 외부세계를 자신의 비디오    공간속에 물의 점착성과 유동성을 이용하여 상상의 액체적 재의 형태로 담아내어 그리   고자 했다.

         만물의 구성요소인 다섯 원기(金木水火土)와 화풍지수(火風地水)(동양의 오행과     바슐라르적 서양의 인과적 요소들)를 가장 자연스럽고 내적인 기(氣)와 같은 욕망의 작용과 만나게 함으로써, 이러한 만남이 이루어내는 것들을 운반체인 물을 통해 끊임없는 되어가기(devenir, 化成)로 만들어간다.

 

         주요 연구 주제

         글쓰기와 지우기, 아날로그와 디지탈의 순환 반복적인 놀이는 나의 어린시절의 근간이 되었던 동양문화의 기억들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중국 서화예술과 한국 전통음악        그리고 일본부토에 있어서의 특히 «즉흥»과 «변형»의 문제에 새로운 비디오적 시각을  제시한다.  

         대개 일본 부토 공연에 영사되었던 나의 비디오 서체적 (vide-eau-calligraphie) 작품들은,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느리게 영사된 이미지와 공연속의 무용수들의 움직임의   미묘한 안무적인 즉흥을 연출하는점에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고자 했다.  

         스크린, 벽면, 사물(objet) 혹은 신체 위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사된 영상의        디지탈 처리 방식은, 물의 불확정적인 유동성과 무용수의 미동적(微動的)인 움직임이 합류되듯이, 비디오의 변칙적인 유동성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이미지들은 공간속에서 소멸되고, 그리고 공연(스펙타클)의 시간속에 엇갈려 천연된 또다른 복수화된 공간들속으로 다시 생성되며 흘러내린다. 스펙타클의 무대배경은, 달빛과 같은 어스름한 조명의 음영속에서, 액체적 재 (Cendres liquides)가 상기 시키듯, 포에지(詩) 와 어렴풋이 사라지는 감미로운 강렬함을 드러낸다.

         또 하나의 조형적 문제는 욕망과 물의 관계로부터 설명되어질수 있을 것이다. 항상 유동적인 이 두 실체 (entités)는 끊임없이 서로를 연관시키며 불러들인다.

         본 작업의 몇가지 유형들인 비디오 서체 «vidéo-calligraphie», 비디오 댄스 «vidéo-danse», 혹은 비디오 부토 «vidéo-butô» 는 유동성과 다른물질에 부합하는 연관성으로  인해, 욕망, 물의 본성과 매우 흡사하다 하겠다.

         물이 그렇듯이 비디오도 무한히 변형가능하며 비정형적 형태이지만 다양한 형상    으로 표현된다. 내가 비디오라는 장치에 접근하는 방식은 물의 이러한 합류와 결합의 성질과 그것의 헤라클레이토스적 힘, 즉 강렬함에서의 그 유사성을 찾는 데 있다.  

         욕망과 물의 관계는 저자의 비디오 작품에서 시간의 이중성과 관련하여 더욱 현저히 나타난다. 사실, 본 작업에서의 유동성과 점착성 (fluidité et viscosité), 빠름과 느림의 문제는, 저자가 행한 비디오 조형방식으로써 «물속에서 물을 그리는 방식» 을 채택하였을때 겪게된 두가지 물리적인 경험을 상기시킨다.

         비디오 작업에서는 이러한 유동성과 점착성의 감성이 시간을 편집하는 몽타쥬 과정중의 편집도구들을 이용한 빠름과 느림의 속도를 조절하는 음악적 리듬놀이처럼 해석    되어 질수있다. 비디오의 이러한 전연성 (malléabilité, 展延性)에 의해, 유동과 점착성의 강도를 넘나드는 우리의 부유(浮游)하는 사고들은 이중 편집되어 화면에 형상화 된다.   

 

         천자문(千字文)의 처음 아홉 개의 한자 이데오그램문자들로부터 구성된 복합 포에지 (poème complexe, 複合詩) 형식을 차용한 비디오 칼리그래피 (vidéo-calligraphie)    작품을 역사 문화 사회적 맥락에서 중국한자서화와 비교하며, 다양한 헤테로포니적 (hétérophonique) 층을 갖고 무한한 변형이 가능한 비디오의 구조와 물의 성질과의     유사성을 살펴 보는 것은 본 연구의 주안점이다.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비디오 모드를     이용해 제작된 영상을 칼리그래픽적 비디오와 타이포 그래픽적 비디오 영상의 두 범주로 구분하여, 회화 (이미지와 텍스트), 음악 (작곡법) 그리고 무용 (움직임) 과의 상관관계적 입장에서 접근 분석해본다. 

         비디오(vide et eau) 의 시간의 구조를 묘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저자는 물의 성질에서부터 출발해 보고자 했다. 베르그송(H.Bergson), 들뢰즈(G.Deleuze), 로제(C.Rosset)의 시간개념과 아이젠슈타인(S.M.Eisenstein)의 영화이론, 들뢰즈의 영화에 관한 몇가지 고찰들, 그리고 중국 철학 사상과 연결한 시간의 개념 분석은 한자서법에서의 쓰기 (écriture)의 시간과 비디오 칼리그래피에서의 비디오적 글쓰기(écriture)의 시간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는 밑받침으로써, 저자가 vidéo (je vois)를 통해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재 해석이라 할수 있다.

 

         저자는 두가지 글쓰기 혹은 두가지 그리기 방식을 채택했다. 이 두 방식은 얼핏보기에는 서로 모순되며, 정 반대의 방식처럼 보이지만, 서로 필연적인 관계에 놓여있다. 파편적 글쓰기 (écriture fragmentaire) 와 비디오 형태학적 유연한 글쓰기(écriture vidéomorphe) 두 경우 모두 변형에의 욕망(le désir de métamorphoser), 되어가기 (devenir,化成) 의 욕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방식의 글쓰기는 미술사적으로 초현실주의자들의 콜라쥬 (collage), 자유 연상기법(association libre), 자동 기술법 (automatisme) 등의 다양한 표현방식과 정신분석학의 자유연상기법이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고대 형상시(les vers figurés)로부터 20세기 아폴리네르(G.Apollinaire), 존 케이지(J.Cage), 말라르메(S.Mallarmé)로 대표되는 근대시, 현대음악상징주의 문학 그리고 현대 인터액티브 멀티미디어의 주 경향을 이루는 문제인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 관해서 장 프랑수와 료타르(J-F.Lyotard), 폴 클레(P.Klee)의 이론을 바탕으로 저자의 비디오 글쓰기 방식을 조명해 보았다.

 

         본저의 후반부에서는 프로그램 언어, 인터액티브, 인터넷, 비디오게임등 인터액티브 영역과 함께 발전되어온 분야들에 관해서 다루었다.

인터액티브 장치들이 사용되는 현대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비디오 게임, 게임   아트, 넷아트 그리고 Camille Utterback, Charles Sandison 등의 현대멀티미디어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기술적인 면에서 비교 분석하며, 이러한 새로운 첨단 매체에 대한 현대예술가들의 접근방식과 공통의 관심사 및 제기되는 문제점등을 «보는것과 읽는것», 혹은 «보여지는것과 읽혀지는것» 에 관해서 전통매체와 비교하여 분석 조명해보았다.

 

         조형예술의 연구와 창작

         모든 분야의 학문은 경험이 증명하는 객관적으로 누적된 지식을 만들어 오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적 진실을 추구하는 학문과 과학이 인식론적 씨앗을 만들어낸다 하더라도, 지식은 현재 진행중인 연구에 의해서만 끊임없이 문제 제기가 가능한 것이다.         엄격한 학문조차도 그것의 고유한 기능속에는 항상 우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경험의   재생산이 기본 기준이었던 자연 과학조차 오늘날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서 기존개념의    공황(恐慌)까지 불러일으키며 인식론적 영역이 주를 이루는 인문과학과 별개의 영역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들은 결국 실험/경험에서 오는 지식을 무의미화 시키기까지 하며, 연구라는 영역은 이제 의도는 갖고있지만 일반화 시킬수 없는 가치와 측정         불가능한 결과를 낳고 있기도 한다.  

         안다는 것 (connaître)은 회상하는 것이며, 보편적 진실을 추구하는 학문은 경험을  나누고 결과를 일반화시킨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예술적 창조는 학문적 진실을 이룩한다고는 할수 없을 것이다. 예술작품은 그것의 존재로서 지식의 증식을 가져오는것이지 그것의 일반화된 법칙에 의해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형예술 영역의 연구에서의 논쟁적인 문제가 있다고 볼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연구와 예술적 창작은 혼동되어야 할것이 아니라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조형예술 (造形藝術) 이라는 학문의 범주하에 행해진 본연구를 통해서 저자가 선택한 매체인 비디오를 매개로 나와 외부세계가 만나는 방식과 특히 조형 예술과 공연예술       두영역의 모호한 경계들을 경험하며 오히려 작품의 밖에서 지식을 창출하고자 했다. 창작, 글쓰기, 사고하기의 즐거움을 경험하고자 했던 본 연구는 현대의 멀티미디어 매체들의   사용, 공연 예술과 조형 예술의 영역의 확장에 관한 미래적 고찰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주요 개념들

(Corps), 되어가기(Devenir), 즉흥(Improvisation), 느림(Lenteur), 다양성(Variation),  변형(Métamorphose), 비디오 몰핑(Vidéomorphe), 놀이(Jeu), 비디오 서체(Vide-eau-calligraphie), 어린시절(Enfance), Analogique, Digital, 인(仁), 도(道), 기(氣), 유동성(Fluidité), 점착성(Viscosité), (Eau), 불(Feu), 움직임(Mouvement), 비어 있음(Vide),     순환(Cycle), 글쓰기(Ecrire), 욕구(Désir), 부호(Signe), 리좀(Rhizome), Interactivité, Programmation, 헤테로포니 (Hétérophonie)…

 

         관련 탐구 영역

중국 서화예술, 일본 부토, 한국 전통음악, 현대무용, 현대음악, 즉흥공연, 중국의학,         인터넷 아트, 웹아트, 게임아트, 조형 예술, 시(calligramme)…

 

         주요 참고 작가, 예술가

비디오 아티스트-Bill Viola, 백남준, 서예가-왕희지, 석도, 부토 무용수- Tatsumi Hijikata, Kazuo Ohno, 작곡가-Arnold Schoenberg, György Ligeti, John Cage, 윤이상, 영화감독-Peter Greenaway, Agnès Varda, 화가-Paul Klee, Yves Klein, 김창열, 시인-Stéphane Mallarmé, Guillaume Apollinaire, 인터액티브 예술가-Camille Utterback, Charles Sandison, 게임아티스트-Feng Mengbo, Joan Leandre, Anne-Marie Schleiner, Brody Condon etc,. 중국 철학-공자(孔子), 노자(老子), 최한기, 석도 (石濤), 소식(蘇軾), 비디오, 인터액티브, 웹아트 예술 이론-Françoise Parfait, Edmond Couchot, Jean-Louis Weissberg, Fred Forest, Stéphane Natkin, Anne-Marie Duguet. 철학자-Gilles Deleuze, Felix Guattari, Gaston Bachelard, François Jullien, Jean-Francois Lyotard…

 

 

 

 

 

목    차

 

들어가는말……………………………………............................……………………………….………………p.3

목차 ………………………………………………………………………....................................………………p.4

서론…………………………………………….....................................…………………………………………p.6

제 1장 : 몸(身體)과 중국한자…………………………………………...................………………………p.19

I : 몸……………………….....................................……………………………………………………………p.20

1.1  부토(舞踏)…………………............................………………………….……………....………………p.20

        1.1.1 부토와의 만남

        1.1.2 히지카타 타츄미와 오노 가주오

        1.1.3 프랑스와 한국에서의 부토 역사

        1.1.4 두 부토 무용수와의 만남 : 마끼 와따나베, 교에 쟈이쥬

1.2  세가지 접근 : 의식(儀式), 변형, 비표현성 …………………...........................………………p.28

        1.2.1 정결의식(淨潔儀式) 

        1.2.2 변형Métamorphose 

                  1.2.2.1 무언가 되어가기 devenir : 어떤 형상에서 다른 형상으로

                  1.2.2.2 나의 부토 경험

        1.2.3 다른 방식으로의 옷입기

                  1.2.3.1 비 표현성

                  1.2.3.2 영상막

                            1.2.3.2.1 영상막 유형학

                            1.2.3.2.2 나체의 몸, 하얀몸, 검은몸

                            1.2.3.2.3 몸-스크린

                                         1.2.3.2.3 -a. 거울

                                         1.2.3.2.3 -b. 그림자: 플라톤(Plato) 의 영상 스크린과 한국 전통 창문

                                         1.2.3.2.3 -c. 반투명 병풍

                            1.2.3.2.4 불꽃 속의 몸

                            1.2.3.2.5 몸과 서예

                            1.2.3.2.6 현대의 영상스크린

 

II : 물속에서 물을 그리다…………………………………………....................................……………p.68

2.1  느림 …………………………………………………………….........................................……………p.69

        2.1.1 감추어진 시 공간의 드러남

        2.1.2 느리게하기 ; 유동성에서 점착성으로

        2.1.3 영화속에서 걷기 « 라메르 La mer » « 깨어남 »   

2.2  Vide-eau-calligraphie…………………………………..................................……………………p.85

        2.2.1 천자문(千字文) 

        2.2.2 천자비

        2.2.3 봄비 서체

2.3   즉흥 ………………………………………………...................................………………………………p.90

        2.3.1 만남

        2.3.2 즉각성

        2.3.3 « Lena Circus »의 즉흥음악

        2.3.4 손으로 생각하기

        2.3.5 예상못한 상황들

                  2.3.5.1 Maki 와 달

                  2.3.5.2 Gyohei 와 사다리

                  2.3.5.3 음악가의 포지션

                  2.3.5.4 Buveur de lune : Ota Yuko 와 팜플루 무스

                  2.3.5.5 Divan du monde

 

제 2장 : 중국 한자 서예와 vidéo-calligraphie…………...................……………………………p.107

III :서화書畵 …………………………………………………....................................……………………p.108

3.1  극동에서의 중국 서화의 위상…......……………….............................………………………p.109

       3.1.1 서화 (書畵) 의 명칭

       3.1.2 서양과 극동의 서화를 보는 다른 시각

       3.1.3 극동에서의 중국서화의 잠재성과 한글 서예의 특별성

       3.1.4 중국 서예의 영향과 한글 서예

       3.1.5 인 (仁)

       3.1.6 중국 한자와 비디오 서예 vidéo-calligraphie

3.2. 석도(石濤)의 서화이론(書畵)…………………………....................................………………p.120

       3.2.1  書畫一致 (서화일치론)

       3.2.2 無法生有法 : 무법생유법

3.3  백남준과 김창렬 예술세계의 중국 한자 문화 …………........................…………………p.129

       3.3.1 백남준           

       3.3.2 김창렬

 

IV :음악과 중국서예. 음화(音畵)……………………………................................…………………p.140

4.1  비디오서예Vidéo-calligraphie ……………………...................................…………………p.141

        4.1.1 획 (劃)

        4.1.2 Sons complexes et Traits complexes  복합 음(音) 과 복합 획(劃)

                  4.1.2.1 복합음Son complexe (Klangkomplex)

                  4.1.2.2 복합획Traits complexes

        4.1.3  음색(音色,Timbre,,Klangfarbe) 

        4.1.4 기보법 (記譜法, Notation)

        4.1.5 변주 (Variation)

                  4.1.5.1 왕희지(王羲之) ; 갈지« Zhi 之» 자의 변주

                  4.1.5.2 아놀드 쉔베르그Arnold Schoenberg;dodécaphonisme 12음 기법

                  4.1.5.3 김창렬; 천개의 물방울  

        4.1.6  우연의 방법

4.2 일곱개의 비디오 서예Vidéo-calligraphie작품분석…………....................………………p.164

        4.2.1 « La lune est le livre le plus ancien »,달은 가장오래된 책 4mn 30s, (2002년, 3월)

        4.2.2 색무색 공연중 황색 불꽃, 2mn 30s, (2003년, 4월)

        4.2.3 « Double jeu : lecture « 0 », 4mn 30s, (2004년, 4-5월)

        4.2.4 « Chunja rain I », 13mn 48s, (2004년, 4-5월)

        4.2.5 « Chunja rain II », 8mn 25s, (2005년, 3월)

        4.2.6 « Chunja rain III », 25mn, (2006년, 1월)

        4.2.7 « Chunja rain IV », 8mn 45s, (2006년, 5월)

 

V : 무용과 중국 서예 (舞畵) …………………………………….................................………………p.176

5.1  운동기억력과 즉흥성 ………………………………….................................……………………p.176

5.2   기(氣)의 운동……………………………………….....................................………………………p.178

        5.2.1 소동파 (소식蘇軾) 의 묵육 (墨肉)

        5.2.2 장부 (臟腑) 이론

        5.2.3 최한기의 기학(氣學) 과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의 몸- 기계론

        5.2.4 도교적 관점에서의 기(음과 양)의 순환

        5.2.5 기와 혈액 순환의 관계 : 욕망과 물

5.3 균형과 불균형………………………………………………...............................……………………p.188

 

제3장: 에크리튜르 (글쓰기) 의 유희 (놀이) :흔적 남기기와 지우기…………....……………p.195

VI : Cycle (순환 )………………………………………………………………….............................……p.196

6.1  순환적 시간………………………………………………………............................…………………p.197

        6.1.1 시간의 이중분열 (dédoublement)

        6.1.2 수직적 시간: 바슐라르의 포에지적(詩的) 시간, 놀이의 창조적 시간

        6.1.3 편집 (montage) 의 시간

        6.1.4 마 (間)

        6.1.5 순간과 영원의 시간  

6.2   vidé-eau 의 시간……………………………………..............................…………………………p.207

        6.2.1 Vidé-eau en vidéo 비디오속의 비어있음과 물

        6.2.2 la vidé-eau-calligraphie의 편집

6.3  « Cycle »공연의 시간과 « Flûite »전시의 시간……………….......................……………p.214

        6.3.1 « Cycle »

        6.3.2 « Flûite »

 

VII : 움직임…………………………………………………………….................................………………p.219

7.1   욕망의 글쓰기…………………………………………….............................………………………p.219

7.2   비디오속의 글쓰기…………………………………………............................……………………p.221

         7.2.1 방향성없이 움직이는 기호들

         7.2.2 비디오 : 비 균일한 분자적 공간

         7.2.3 기다림의 움직임

7.3   시각적 포에지 (詩)…………………………………………............................……………………p.230

         7.3.1 아코데온 : « Double jeu : le jeu de bataille entre D et G »

         7.3.2  Raymond Queneau : Cent mille milliards de poèmes

         7.3.3  Musique de mots 단어의 음악. 낱말… 음소의 음악 글씨 음악

         7.3.4  Texte nomade  떠도는 텍스트

                   7.3.4.1 « TextRain », Camille Utterback, 1999.

                   7.3.4.2 « Rage Love Hope Despair », Charles Sandison, 2004.

                   7.3.4.3 « Four seasons », Andrea Müller, 2004.

                   7.3.4.4 « Letterscapes », Peter Cho, 2002.

                   7.3.4.5 « Takeluma », Peter Cho, 2005.

                   7.3.4.6 « Messa di Voce », Golan Levin, 2003.

 

VIII : 이미지와 글쓰기 (에크리튜르)의 시학……………...............................…………………p.252

8.1  읽히는 것과 보이는 것: 텍스트-표상적 (textuel- figural) 형상의 공간속에 ………….……p.252

8.2  알파벳 문자들………………………………………………………..............................……………p.257

        8.2.1 프랑스어

        8.2.2 한글

        8.2.3 일어

8.3  아날로그와 디지털………………………………………..........................…………………………p.269

        8.3.1 점, 선, 면 : comment épouser la situation 상황에 어떻게 결합할것인가

        8.3.2 두가지 유형의 디지털 이미지

        8.3.3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   

        8.3.4 중국 한자 서예에서의 원형과 장방형

        8.3.5 연속성과 불연속성

 

IX : 글쓰기의 두가지 모드………………………………...........................……………………………p.291

9.1  파편적 글쓰기……………………………………………...........................…………………………p.292

        9.1.1 어린시절의 « 덩어리 »

        9.1.2 « Théâtre de la chambre »

        9.1.3 « Enfance I, II, III »

9.2   Vidéomorphe ……………………………………………...............................……………………p.303

        9.2.1 몰핑  

                  9.2.1.1 Pierrick Sorin, « Really nice »

                  9.2.1.2 Brigitte Pougeoise, « Dance & You »

                  9.2.1.3 Klaus Obermaier, Chris Haring, « D.A.V.E. (Digital Amplified Video Engine) »

                  9.2.1.4 José Montalvo et Dominique Hervieu, « On danfe »

                  9.2.1.5 Robert Arnold, « The Morphology of Desire »

                  9.2.2 연금술

 

제4장 : 보이는것과 보이지 않는것(디지털, 컴퓨터 프로그래밍)………..............…………p.324

X : 넷아트와 온라인게임 ………………………………………………............................……………p.325

10.1 넷아트………………………………………………………………................................……………p.326

         10.1.1 인터넷 ; 마디와 마디를 잇는 긴장의 영역

         10.1.2 www.eun-art.org

         10.1.3 넷아트에 대한 예술가들의 두가지 접근방식 

         10.1.4 넷아트가 제시하는 문제들

                     10.1.4.1 « Glance » (힐끔보기)

                     10.1.4.2 참여와 상호 작용성

                     10.1.4.3 온라인과 오프라인

10.2  온라인 게임……………………………………………………….............................………………p.353

         10.2.1 아바타; 디지털 놀이자; 이중의 놀이자

         10.2.2 비디오 게임에 관한 몇가지 고찰

         10.2.3 비디오 게임과 인터액티브 아트  

         10.2.4 게임아트

 

XI : 창작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p.365

11.1 프로그래밍 언어……………………………………………….........................……………………p.366

         11.1.1 프로그래밍  

         11.1.2 컴퓨터 프로그래밍

11.2 컴퓨터로 그림 그리기……………………………………............................……………………p.373

11.3 인터액티브 프로잭트를 위한 연구개요……………......................…………………………p.381

         11.3.1 프로그래밍 기본개요

         11.3.2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개요

         11.3.3 C, C++, Java 언어 비교

         11.3.4 프로그램 비교

         11.3.5 인터액티브 애니메이션: 플래쉬 창작

         11.3.6 예술가- 엔지니어

 

결론 …………………………………………………………….............................……………………………p.391

세부 목차………………………………………………………...........................……………………………p.403

각장별 요약…………………………………………………..........................………………………………p.408

개인 작품 목록 (연도순)…………………………………......................…………………………………p.412

전체 도판 목록 ………………………………………………...........................……………………………p.415

개인 작품 도판 목록……………………………………….........................………………………………p.426

참고 작가 도판 목록……………………………………….........................………………………………p.433

인명 색인…………………………………………………………...........................…………………………p.437

주요개념 목록…………………………………………………..........................……………………………p.445

전문 용어 사전

             -아시아 언어 용어…………….......…………………………………………………………………p.448

             -음악 용어………………………………..........………………………………………………………p.452

             -컴퓨터 용어……………………………………............……………………………………………p.453

DVD 목록………………………………………...........................……………………………………………p.456

참고 문헌 …………………………………………….......................…………………………………………p.457

개인 작품 도판(연도순)….............................……………………………………………………………p.465

Extra project………………………………….....................…………………………………………………p.510

 

 

bottom of page